끝날 듯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창업자 간 경쟁이 터무니없이 심화되는 지금 고객의 욕구는 점차 세분화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시장을 객관적 잣대로 분류하고, 창업 상품에 적합한 고객들을 명확히 분석하여, 이들에게 소구 될 수 있는 적정한 상품을 제공하는 전략 수립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 ‘마케팅의 아버지’라 불리는 마케팅 분야 최고권위자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가 제시한 STP 전략을 알아보자.
STP 전략은 시장세분화(Segmentation), 목표시장 설정(Targeting), 포지셔닝(Positioning) 세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시장세분화(Segmentation): 특정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고객의 성별, 소득수준, 연령, 지역, 소비성향, 가치관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시장을 세분화한다. 이때 기준은 인구통계학적 기준(나이, 성, 직업, 수입 등), 지리적 기준(국가, 기후), 심리적 기준(취향, 가치관, 개성), 행동적 기준(라이프스타일, 언어, 소비패턴) 이렇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2. 목표시장 설정(Targeting): 수익을 최대로 창출하기 위해서 잠재 고객 집단을 정확히 판단하여 상품의 이미지나 특징에 가장 적합한 시장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때 마케팅 비용이나 수익 증대 폭, 시장의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3. 포지셔닝(Positioning): 잠재 고객의 마음속에 상품을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이다. 고객에게 타사와 다른 자사 제품의 차별성을 각인시킬 수 있도록 광고, 홍보 등 각종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한다면 보다 빠른 포지셔닝으로 자리할 것이다.
즉, STP는 각기 다른 소비자로 구성된 전체 시장을 나누고(S) 어느 세분 시장을 겨냥할지 선택(T)하여 그 표적 시장에 맞춰 상품을 설계(P)하는 것이다.
이 전략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타사의 제품보다 차별화하고 고객들의 니즈에 적합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전략이자 포인트라고 생각한다.
창업의 핵심은 비즈니스 모델로 이는 창업의 전부와 같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그렇다면 비즈니스 모델이란 무엇일까? 바로 계획적인 꾸준한 판매와 연속적인 확장이 가능한 모델을...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뜨거운 물에 손 화상을 입었습니다.아르바이트생도 산재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어피치님...
□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김상조)는 가맹본부와 점주 간 상생발전을 유도하고 수익배분구조의 공정화 및 실질적인 점주 지원이 촉진될 수 있도록 가맹 상생협약 평가기준을 대폭 개정하였다...